수익형 핀터레스트

제휴마케팅 브릿지 페이지 - 링크트리 세팅 (결론: 실패)

나새끼메이커 2025. 3. 14. 03:02
반응형

 

나는 앞선 사업 구상에서

제휴마케팅 세일즈 퍼널 중 브릿지 페이지로 링크트리를 설정한 바 있다.

2025.03.14 - [수익형 핀터레스트] - 수익형 핀터레스트 사업 구상 ver1.

 

이번 포스팅에서 링크트리 계정을 생성하고 제휴마케팅에 맞도록 세팅을 해보자.

 

링크트리 계정 생성

 

1. sign up free 버튼 클릭

2. 이메일 계정을 입력한다. 본좌는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기로 했다.

3. username을 넣어준다. 링크트리는 SEO와 무관하기 때문에 깊게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4. 목표 설정은 creator로 해준다.

5. 이용 목적을 묻는다. 제휴마케팅을 목적으로 하므로 affiliate는 필수로 선택해준다. 복수 선택 가능하므로 몇 개 더 선택한다.

6. 플랜을 업그레이드하라고 한다. 일단 스킵해준다.

 

 

7. 플랜을 선택하도록 나온다. 플랜별로 비교하자면 다음과 같다.

  나는 일단 무료 플랜으로 시작한다. 추후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해지면 pro를 고려해볼 수 있겠다.

 

 

 

8. 다음은 템플릿 설정이다. 머천트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하는 브릿지 페이지의 템플릿은 중요하다 하겠다. 

 

 

 

여기에서 프로젝트가 엎어졌다.

상품이 많아지면 저 링크 버튼이 엄청나게 길어지고

소비자는 스크롤을 내려가며 저 목록에서 상품을 찾아야한다?

이딴 걸 누가 브릿지로 써-_-

왜 구상 단계에서는 이 생각을 못했을까.

 

상품마다 별도의 링크를 제공할 수 있는 브릿지 페이지가 필요하다.

그래서 사람들이 다 블로그를 브릿지 페이지로 쓰는구나.

결국 다시 돌아간다. 블로그로.

반응형